[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트리거란?
2023. 2. 8. 12:30ㆍ정보처리기사
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데이터베이스 트리거란?
트리거(Trigger)는 테이블에 대한 이벤트에 반응해 자동으로 실행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트리거는 데이터 조작 언어(DDL)의 데이터 상태의 관리를 자동화 하는데 사용됩니다.
트리거를 사용하여 데이터 작업을 제한, 작업 기록, 변경 작업 검사 등을 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구체적으로 특정 테이블에 INSERT, DELETE, UPDATE같은 DML 문이 수행될 때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동으로 동작하기에 사용자 호출이 필요 없습니다.
트리거의 유형
- BEFORE / AFTER: 트리거가 실행되는 시기를 지정한다.
- INSTEAD OF: 트리거를 원래 문장 대신 수행한다.
- WHEN: 트리거를 시작하는 조건식을 지정한다.
트리거 사용 예시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란? (0) | 2023.02.08 |
---|---|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테스트: White/Black Box Testing 이란? (0) | 2023.02.08 |
[정보처리기사] 데이터 무결성 제약조건 (0) | 2023.02.08 |
[정보처리기사] ARP/RARP 프로토콜이란? (0) | 2023.02.08 |
[정보처리기사] 은행가 알고리즘(Banker's Algorithm) (0) | 202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