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6)
-
[정보처리기사] HRRN 스케줄링이란?
4과목: 프로그래밍언어 활용 HRRN (Highest Response Ratio Next) 스케줄링이란? HRRN(최상 응답 비율 순서) 스케줄링은 프로세스 처리의 우선 순위를 CPU 처리 기간과 해당 프로세스의 대기 시간을 동시에 고려해 선정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이다. HRRN (Highest Response Ratio Next) 스케줄링 특징 (대기시간 + 서비스시간 )/ 서비스시간 이 큰 순서대로 스케줄링한다. 대기 중인 프로세스 중 대기시간이 긴 프로세스 일 경우 우선순위가 높아지게 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스케줄링 기법 SLF 기법을 보완하기 위한 방식이다. (SLF 기법의 단점인 '기아현상' 보완, 기아현상이란 시스템 부하가 많아서 낮은 등급에 있는 준비큐에 있는 프로세스가 무한정 대기 하게 ..
2023.02.09 -
[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 뷰(View) 란?
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뷰(View) 란? 뷰(View)는 사용자에게 접근이 허용된 자료만을 제한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된 이름을 가지는 가상테이블입니다. 뷰의 특징 뷰는 저장장치 내에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사용자에게 있는 것처럼 간주된다. 뷰는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된 테이블이기 때문에 기본 테이블과 같은 형태의 구조를 사용하며, 조작도 기본 테이블과 거의 같다. 데이터의 논리적 독립성을 제공할 수 있다. 기본 테이블의 기본키를 포함한 속성 집합으로 뷰를 구성해야지만 삽입, 삭제, 갱신, 연산이 가능하다. 정의된 뷰는 다른 뷰의 정의에 기초가 될 수 있다. 뷰가 정의된 기본 테이블이나 뷰를 삭제하면 그 테이블이나 뷰를 기초로 정의된 다른 뷰도 자동으로 삭제된다...
2023.02.09 -
[정보처리기사] 인터페이스 보안이란?
2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인터페이스 보안이란? 인터페이스를 쉽게 정의 하자면 "내부와 외부를 연결해주는 통로"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조직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해주는 통로로써 이메일, 웹 서버, 휴대용 저장매체, 외주업체 직원 등이 인터페이스에 포함 될 수 있습니다. 공격자들은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공격을 해오고 인터페이스 보안 방법들은 이 공격들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인터페이스 보안 기능 적용 인터페이스 보안 기능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영역에 적용됩니다. 1. 네트워크 영역 인터페이스 송,수신 간 스니핑(Sniffing) 등을 이용한 데이터 탈취 및 변조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암호화를 설정함..
2023.02.08 -
[정보처리기사] 트리의 전위/중위/후위 순회
2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트리 순회 방법 1. 전위 순회(Preoder Traversal): Root 를 먼저 방문 전위 순회로 위의 문제를 해결한 결과: +**/ABCDE 2. 중위 순회(Inorder Traversal) : 왼쪽 하위 트리를 방문후 root 를 방문 중위 순회로 위의 문제를 해결한 결과: A/B*C*D+E 3. 후위 순회(Postorder Traversal) : 하위 트리 모두 방문 후 Root 를 방문 후위 순회로 위의 문제를 해결한 결과: AB/C*D*E+
2023.02.08 -
[정보처리기사]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란?
2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란?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는 구현된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검증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구현 및 감시 도구를 통해서 인터페이스 동작 상태를 검증하고 모니터링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의 종류 xUnit: 자바(JUnit), C++(cppUnit), .net(nUnit)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 STAF(Software Testing Automation Framework): 서비스 호출, 컴포넌트 재사용 등 다양한 환경을 지원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 각 테스트 대상 분산 환경에 데몬을 사용해 테스트 대상 프로그램을 통해 테스트를 수행하고 통합하며 자동화하는 검증 도구 FitNesse: 웹 기반 테스트 케이스 설계..
2023.02.08 -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테스트: White/Black Box Testing 이란?
2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White Box Testing(화이트 박스 검사) 란? White Box Testing는 소프트웨어 내부 소스코드를 확인하는 기법이다. (응용 프로그램의 내부 구조와 동작을 검사) 화이트 박스 테스트는 내부 소스코드의 동작을 개발자가 추적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의 유효성 뿐만아니라 실행되는 과정을 살펴 봄으로써, 코드가 어떤 경로로 실행되며, 불필요한 코드 혹은 테스트되지 못한 부분을 살펴볼 수 있다. White Box Testing: 포함 기술 제어 흐름 테스트 데이터 흐름 테스트 분기 테스트 경로 테스트 Black Box Testing(블랙 박스 검사) 란? Black Box Testing는 소프트웨어의 내부를 보지 않고 입력과 출력값을 확인하여 기능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
2023.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