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6)
-
[Spring] 예외를 처리하는 방법
이번 글에서는 예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본 글은 "토비의 스프링 3.1" 책을 읽고 책의 내용과 제 생각을 더해서 쓴 글입니다) 예외를 처리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할 핵심 원칙은 모든 예외는 적절하게 복구되든지 아니면 작업을 중단시키고 운영자 또는 개발자에게 분명하게 통보해야 합니다. 앞으로는 이 두 가지의 핵심 원칙을 지켜 자바에서 예외처리를 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 자바에서 throw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는 예외2. 예외를 처리하는 일반적인 방법과 효과적인 방법3. 일괄된 예외처리 전략 1. 자바에서 throw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는 예외 자바에서 throw 키워드는 만약 어떤 연산을 하다가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했을 때 Excepti..
2022.11.01 -
[Spring] JdbcTemplate
이번글은 Spring 프레임워크의 JdbcTemplate에 대해 알아 보려고 합니다. JdbcTemplate를 사용하는 목적과 사용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것이전에 다뤘던 IoC/DI는 모듈간의 의존관계가 있을 때 스프링 컨테이너가 의존관계를 주입하는 방식이었습니다. 모듈간의 응집도는 높이고 다른 모듈간의 결합도는 낮추면서, 변화가 발생했을 때 하나의 모듈 내에서 집중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었습니다. 아래의 글은 IoC/DI에 대해 정리한 글이니 참고부탁드립니다! [Spring] IoC/DI 컨테이너이번 글은 스프링의 IoC/DI 개념에 대해 학습하고 정리하는 글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글의 전개 방향은 간단한 예제를 반복적인 리팩터링을 거치면서 IoC/D..
2022.10.22 -
[Spring] TDD란?
이번 글에서는 TDD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TDD의 매력에 눈을 뜬 저처럼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이 TDD 매력에 대해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해 보겠습니다! 제가 TDD에 매력을 느낀 이유는 실수의 빈도를 줄이고 빠르게 버그를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또한 테스트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도 TDD의 매력이었습니다. 저는 TDD 방식을 알기 전에 여러 웹 사이트를 개발하면서 사용자의 정보를 DB에 저장하는 간단한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과정을 거쳐야 했습니다. 1. DAO를 만든 뒤 바로 테스트하지 않고 서비스 계층, MVC, 프레젠테이션 계층까지 포함한 모든 입출력 기능을 대충이라도 코드로 다 만든다. 2. 테스트용 웹 애플리케이션을 서버에 배치한다. 3. 웹 화면..
2022.10.14 -
[Spring] IoC/DI 컨테이너
이번 글은 스프링의 IoC/DI 개념에 대해 학습하고 정리하는 글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글의 전개 방향은 간단한 예제를 반복적인 리팩터링을 거치면서 IoC/DI의 의미와 중요성을 체감할 수 있도록 작성해 보도록 노력해 보겠습니다. (이 글은 토비의 스프링 3.1 Vol.1 스프링의 이해와 원리 책의 내용을 기반하여 작성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책을 구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목차 1. 예제 설명 2. 관심사의 분리 과정 3. 제어의 역전(IoC)과 스프링의 IoC 4. 의존 관계 주입(DI) 1. 예제 설명이번 글에서 사용할 예제는 "사용자의 정보를 넣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관리" 하는 상황입니다. 코드를 통해 간단하게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2022.10.12 -
[Network] 프로토콜 계층(2)
프로토콜 계층이란? 이 글을 읽기 전에 알아두면 이해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따로 정리해 두었습니다. 해당 글을 먼저 읽고 오시는 걸 추천드릴게요! (이해가 되지 않거나 앞으로의 설명에 꼭 필요한 부분이 빠졌다고 생각되시는 내용은 댓글을 통해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Network] 프로토콜 계층(1) 이번글은 네트워크 구조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웹에 대해 공부를 하다보면 TCP/IP 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해 그 용어 대해 이해하려고 하면 선수 지식들이 많다 보니 이번 글을 통해 초석 jminc00.tistory.com 호스트의 수가 늘어나면 그에 따라 네트워크도 매우 복잡해 질 수밖에 없습니다. 즉,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프로토콜, 여러 가지 종단 시스템과 종단 시스템 간의 연결, 라우터, ..
2022.10.09 -
[Network] 프로토콜 계층(1)
이번 글은 네트워크 구조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웹에 대해 공부를 하다 보면 TCP/IP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해 그 용어 대해 이해하려고 하면 선수 지식들이 많다 보니 이번 글을 통해 초석을 다지려고 합니다. 글을 읽다가 이해가 되지 않는다거나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글은 컴퓨터 네트워크 하향식 접근방법 제8판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프로토콜이란? 네트워크는 프로토콜이 매우 중요합니다. 프로토콜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의 이미지를 보겠습니다. 왼쪽의 이미지는 두 사람이 대화를 나누고 있습니다. 대화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자 : Hi 남자 : Hi 여자 : Got the time? 남자 : 2:00! 매우 익숙한 대화의 내용에서는 우..
2022.10.02